ssh 관련 사용 옵션

SSH Usages

Ssh timeout

ssh를 사용시 접속 시간이 지나면 자동 끎김을 막아주는 옵션들이 있다.

운영하는 서버는 보안상 alive 메시지를 모두 막아 두었다.
다만, ssh 접속시 ServerAliveInterval 을 사용해서 클라이언트가 alive 메시지를 서버에 있다.

sshd

sshd 데몬은 클라이언트 접속후 sshd_config에 구성한 설정데로 alive 메시지를 클라이언트에 주고 받아 접속 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. 아래 그림 [^1]

1
2
3
4
5
6
7
8
9
10
11
# alive 메시지 사용 결정
#TCPKeepAlive yes # 기본 yes.

# 클라이언트가 살아있는지 확인하는 간격.
ClientAliveInterval 60 # 기본 0.
# 클라이언트에서 응답이 없을 때 메시지를 보내는 횟수
ClientAliveCountMax 3 # 확인 횟수

# Login Prompt에서 사용자 입력을 기다리는 시간을 초 단위로 입력.
LoginGraceTime 20 #( 1m: 기본 1분지정, 0은 시간제한없음)

ssh 옵션

ssh 사용시 /etc/ssh/ssh_config 구성 파일에 있는 ServerAliveInterval 옵션을 사용하면 ssh 접속시 alive 메시지를 서버가 클라이인트에게 주어진 시간 간격으로 보낸다.

[그림. ServerAliveInterval]

ssh_config 파일에 구성하거나 ssh 사용시 -o ServerAliveInterval 옵션을 사용하는 방법 두 가지가 있다.

ssh -o

ServerAliveInterval option every time you’re connecting to a server by using the -o ServerAliveInterval= prefix as the following example;

1
ssh -o ServerAliveInterval=300 user@example.com

key파일 사용

키파일 이용

키파일을 원하는 위치에 복사하고 퍼미션을 400으로 조정합니다. (저는 ~/Desktop/key/로 정했습니다.)

1
$ chmod 400 ~/Desktop/key/keyfile.pem

터미널에서 키파일 옵션을 추가한 명령으로 ssh 접속

1
$ ssh -i ~/Desktop/key/keyfile.pem ec2-user@[서버 아이피 또는 도메인]

포트가 다르다면

1
$ ssh -i ~/Docments/cloud-server.pem root@220.11.11.173 -p 8888

서버 키 생성

서버에도 클라이언트와 동일하게 ssh-keygen 명령으로 비밀키와 공개키를 생성한다.

1
(SERVER)$ ssh-keygen -t rsa -b 4096 -C "USER@server"

scp -i /Documents/ncloud-key/qkbooo-ncloud.pem ~/.ssh/id_rsa.pub root@210.89.190.173:/ -p 2525

1
2
ssh userid@SERVER
(SERVER) $ cat client.pub >> .ssh/authorized_keys; rm client.pub

포트변경 사용

rsync 포트 사용

rsync에서 다른 ssh 포트를 사용하고 있을 경우 아래와 같이 옵션을 붙여준다.

1
$ rsync -e 'ssh -p 0000'

혹은

1
rsnyc --rsh'=ssh -p0000'

참조

[^1]: How to keep your ssh connection

Build ffmpeg - macOS

Mac OS X 에서 ffmpeg 빌드

Android OS에 사용할 ffmpeg를 macOS에서 크로스컴파일러로 빌드해서 포팅하는 과정을 담고 있다.
필요한 것은

  • homebrew
  • xcode command line
  • Android NDK stanalone toolchain

준비할 것

Homebrew 를 이용한 빌드를 위해서 xcode와 homebrew 설치가 필요하다.

Xcode 최신버전들은 Command line tool을 수동으로 설치해야 한다.

  • Xcode를 실행하여 ‘Preferences > Downloads > Command Line Tools’ 항목을 설치

homebrew 설치

1
ruby <(curl -fsSkL raw.github.com/mxcl/homebrew/go)

그리고 homebrew doctor 명령을 실행해 설치 환경과 내용이 이상 없는지 확인한다.

1
homebrew doctor

update로 포뮬라들을 최신으로 갱신해 준다.

1
brew update

homebrew에서 설치하는 개체를 Ruby script로 패키지에 대해 선언한 명세서를 Formula라고 하고 install 명령에 의해 /usr/local/Library/Formula 에 설치한다.

homebrew에서 패키지를 하나 설치한다.

1
$ brew install wget

그리고 패키지의 업그레이드, 제거는 다음과 같다.

1
2
brew upgrade [foo]
brew uninstall [foo]

의존성 패키지 설치

ffmpeg 에 필요한 의존선 패키지를 설치한다.

1
2
3
4
brew install automake celt faac fdk-aac git \
lame libass libtool libvorbis libvpx libvo-aacenc \
opencore-amr openjpeg opus sdl schroedinger shtool \
speex texi2html theora wget x264 xvid yasm

Install libaacplus (atm. there is no recipe for it) 컴파일 환경에 대해 [^1]를 참조했다.

1
2
3
wget http://217.20.164.161/~tipok/aacplus/libaacplus-2.0.2.tar.gz
tar xzf libaacplus-2.0.2.tar.gz
cd libaacplus-2.0.2

libtool on osx is quite different from the gnu libtool, which is called glibtool on osx

1
2
3
4
5
6
7
cat autogen.sh | sed 's/libtool/glibtool/' > autogen2.sh


sed -i '.bck' -e 's/libtool/glibtool/' autogen.sh
./autogen.sh
make && make install
cd ..

Standalone toolchain

http://goo.gl/P20dD

Standalone toolchain은 Android NDK 최근 버전부터 추가된 기능입니다. 이걸 사용하면 ndk-build 명령을 쓰지 않고 기존의 configure -> make를 사용하던 컴파일 과정을 그대로 사용해서 라이브러리를 컴파일 할 수 있습니다.

ndk를 통해서 toolchain을 빌드한다. 자세한 사항은 STANDALONE-TOOLCHAIN  참조한다.

1
2
3
4
$ {NDK}/build/tools/make-standalone-toolchain.sh \
--platform=android-8 \
–install-dir=/MYDEV/android=9-toolchain
$ export PATH=/MYDEV/android=9-toolchain/bin:$PATH

샘플 코드 컴파일 방법
test.cpp 가 있다고 가정하고

1
$ arm-linux-androideabi-g++ -o test_arm test.cpp

Makefile 을 다음과 같이 만든다.

1
2
3
4
5
6
7
8
9
10
ARM_COMPILE = arm-linux-androideabi-
CC = g++

ARM_CC = $(ARM_COMPILE)g++
ARM_INCLUDES = -I /MYDEV/android=9-toolchain/sysroot/usr/include
CFLAGS = -O2 -Wall -D_LINUX -fno-strict-aliasing -D_COLOR_LOG
BINS = test

arm:
$(ARM_CC) $(CFLAGS) -o test_arm test.cpp $(ARM_INCLUDES)

ffmpeg build

standalone toolchain을 사용한다.

ffmpeg configuration

1
export ANDROID_ROOT=/cygdrive/c/my-android-toolchain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ANDROID_ROOT=/home/qkboo/my-android-toolchain \
./configure --target-os=linux \
--arch=arm \
--enable-cross-compile \
--cc=$ANDROID_ROOT/bin/arm-linux-androideabi-gcc \
--cross-prefix=$ANDROID_ROOT/bin/arm-linux-androideabi- \
--extra-cflags="-marm -march=armv7-a -mfloat-abi=softfp -mfpu=neon" \
--extra-ldflags="-Wl,--fix-cortex-a8" \
--disable-doc \
--disable-ffmpeg \
--disable-ffplay \
--disable-ffprobe \
--disable-ffserver \
--disable-avdevice \
--disable-network \
--disable-devices \
--disable-filters

맨 첫 줄의 ANDROID_ROOT 값은 자신이 standalone toolchain을 설치한 폴더로 수정합니다.

참고로

  • “–arch=arm”과 “–enable-cross-compile”: arm CPU 용으로 cross compile 하겠다는 옵션입니다.
  • “–cc”나 “–cross-prefix”: cross compile 할 때 사용할 compiler에 관한 정보를 줍니다.
  • “–extra-cflags”나 “–extra-ldflags”는 neon 사용할 때 쓰는 옵션입니다. (c:/android-ndk-r5b/docs/STANDALONE-TOOLCHAIN.html 참조)

나머지는 ffmpeg에서 이러이러한 기능은 빼고 컴파일 하겠다는 뜻입니다. 예를들어 network 이런 기능은 필요없겠지요?

생성된 config.h 파일을 열어봅니다.

1
2
3
4
5
6
7
8
9
10
11
#define ARCH_ARM 1

#define HAVE_ARMV5TE 1

#define HAVE_ARMV6 1

#define HAVE_ARMV6T2 1

#define HAVE_ARMVFP 1

#define HAVE_NEON 1

위와 같은 설정들이 잘 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실 겁니다.

config.h 파일에서 #define restrict restrict 부분을 찾아 다음과 같이 바꾼다.

1
#define restrict

X264 컴파일

http://bongjaemoon.wordpress.com/2012/05/25/ffmpeg-x264-compile-for-using-with-android-ndk-on-mac-osx/

Application.mk 작성

g:/Root/FFmpegBasic/jni 폴더에 Application.mk 파일을 만듭니다.
내용은 간단히 아래와 같이 한 줄만 작성합니다.

  1. APP_ABI := armeabi-v7a

참고:
arm architecture ARMv7-A 이상을 타겟으로 컴파일 하겠다는 옵션입니다.
arm CoretexA8 이상의 core가 이에 해당됩니다.
앞서 말씀드린대로 arm11 코어를 사용한 Optimus One, Galaxy Neo 같은 폰에서는 안 돌아가겠지요.

Android.mk 작성

http://www.viper.pe.kr/docs/make-ko/make-ko_toc.html (한글)
http://sunsite.ualberta.ca/Documentation/Gnu/make-3.79/html_chapter/make_toc.html (영문)

Android.mk 는 폴더마다 여러개를 작성해야 합니다.공통으로 사용할 common.mk 파일을 먼저 작성한 후, 각각 폴더마다 설명하겠습니다.

  • common.mk

g:/Root/FFmpegBasic/jni/ffmpeg 폴더에 common.mk 파일을 만듭니다.모든 Android.mk에서 공통으로 include 해서 사용할 파일입니다.

common.mk에서는 크게 두가지 일을 할 것입니다.1) 공통으로 사용할 컴파일 옵션을 정의합니다.2) configure를 통해 생성된 파일에서 컴파일 할 소스 파일 이름들을 읽어 저장합니다.

  1. 컴파일 옵션은 다음과 같이 한 줄이면 됩니다.

1.COMMON_CFLAGS := -DHAVE_AV_CONFIG_H -D_ISOC99_SOURCE -D_FILE_OFFSET_BITS=64 -D_LARGEFILE_SOURCE -D_POSIX_C_SOURCE=200112 -D_XOPEN_SOURCE=600 -DPIC -std=c99 -fomit-frame-pointer -fPIC -fno-math-errno -fno-signed-zeros -fno-tree-vectorize
참고:컴파일 옵션이 복잡해 보이지만 그냥 configure에서 생성된 컴파일 옵션을 그대로 정리해 준 것 뿐입니다.

ffmpeg 폴더의 common.mak 파일을 열어보시면아래와 같은 부분이 있습니다.
1.%.o: %.c 2.$(CCDEP)
3.$(CC) $(CPPFLAGS) $(CFLAGS) $(CC_DEPFLAGS) -c $(CC_O) $<
FFmpeg 컴파일 할 때, $(CPPFLAGS) $(CFLAGS) $(CC_DEPFLAGS) 이 세 개의 매크로에 정의된 옵션들을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.

ffmpeg 폴더의 config.mak 파일을 열어보시면 이 값들이 정의되어 있습니다.

CPPFLAGS는 아래와 같습니다.
1.CPPFLAGS= -D_ISOC99_SOURCE -D_FILE_OFFSET_BITS=64 -D_LARGEFILE_SOURCE -D_POSIX_C_SOURCE=200112 -D_XOPEN_SOURCE=600 -DPIC
이 값들은 다 사용해 줍니다.

CFLAGS는 엄청 깁니다.
1.CFLAGS= -marm -march=armv7-a -mfloat-abi=softfp -mfpu=neon  -std=c99 -fomit-frame-pointer -fPIC -marm -g -Wdeclaration-after-statement -Wall -Wno-parentheses -Wno-switch -Wdisabled-optimization -Wpointer-arith -Wredundant-decls -Wno-pointer-sign -Wcast-qual -Wwrite-strings -Wtype-limits -Wundef -Wmissing-prototypes -Wno-pointer-to-int-cast -O3 -fno-math-errno -fno-signed-zeros -fno-tree-vectorize -Werror=implicit-function-declaration -Werror=missing-prototypes
복잡해 보이지만 하나씩 차근히 보면 정리가 됩니다.
여기서 -marm -march=armv7-a -mfloat-abi=softfp -mfpu=neon -g -O3 옵션들은 다 뺍니다.우리는 Android ndk-build를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-O3 같은 최적화 관련 옵션은 지정하지 않습니다.(이것은 android build system이 알아서 해줍니다)-marm -march=armv7-a -mfloat-abi=softfp -mfpu=neon 이와 같은 cross compile관련, neon 관련 옵션도 빼줍니다.(이것은 나중에 Android.mk의 옵션으로 지정해 줄 것입니다)마지막으로 -W 로 시작하는 옵션은 warning 관련 옵션이니 그냥 다 뺍니다.

CC_DEPFLAGS는 별 것 없고 상관없는 값들입니다. 무시합니다.

추가로 subdir.mak 파일을 보시면 아래와 같은 부분이 있습니다. 1.$(OBJS) $(SUBDIR)%.ho $(SUBDIR)%-test.o $(TESTOBJS): CPPFLAGS += -DHAVE_AV_CONFIG_H
$(OBJS) 에 정의된 모든 파일에 위 조건이 해당되므로 -DHAVE_AV_CONFIG_H 도 포함합니다.

이렇게 정리하면 위에서 한 줄로 정리한 COMMON_CFLAGS 컴파일 옵션들이 나옵니다.

  1. 컴파일 할 소스 파일들을 정의

이 부분은 소스가 좀 길고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. 하지만 역시 핵심은 간단합니다.

먼저 FFmpeg의 Makefile을 하나만 분석해 보겠습니다.
ffmpeg 폴더의 common.mak 파일을 열어보면 아래와 같은 부분이 있습니다.
1.OBJS      += $(OBJS-yes)
컴파일에 사용할 소스 파일은 OBJS 매크로와 OBJS-yes 매크로에 정의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.
우리도 이 소스들을 컴파일 하면 되므로 똑같이 적어줍니다.

이제 OBJS 매크로에는 xxxxx.o 와 같은 object 파일들이 쭉 저장되게 됩니다.이걸 그냥 간단히 전부 xxxxx.c로 변환해서 쓰면 가장 쉽겠지만 그렇게 간단하지는 않습니다.우선 c 파일 외에도 xxxxx.S 와 같은 어셈블리 코드들이 포함되어 있고,neon 컴파일 해야하는 소스들은 xxxxx.c.neon 또는 xxxxx.S.neon 과 같이 neon 접미사를 붙여줘야 하기 때문입니다.

다행인 것은, FFmpeg 소스들을 보면 neon 컴파일 해야 하는 소스들은 모두
_neon.c 와 같이 _neon 접미사가 붙어 있어서 이것으로 구분이 가능합니다.(ffmpeg/libavcodec/arm 폴더의 파일들을 훑어 보시기 바랍니다)따라서 _neon 접미사를 검색해서 해당 접미사가 있는 소스에만 .neon을 마지막에 추가해 주면 됩니다.

위와 같은 과정을 수동으로 일일이 진행하셔도 좋지만 번거로우니 Makefile 문법을 사용해 작성해 주면 됩니다.최종적으로 컴파일 할 소스 파일들은 각각 다음 매크로에 저장할 것입니다.

C_FILES: 컴파일 할 c 파일S_FILES: 컴파일 할 S 파일NEON_C_FILES: neon 컴파일 할 c 파일NEON_S_FILES: neon 컴파일 할 S 파일FFFILES: 컴파일 할 모든 소스 파일 전부 정의

이제까지 설명한 것을 종합해서 common.mk의 전체 소스를 보여드리면 아래와 같습니다.
common.mk 파일을 다음과 같이 작성해줍니다.

01.COMMON_CFLAGS := -DHAVE_AV_CONFIG_H -D_ISOC99_SOURCE -D_FILE_OFFSET_BITS=64 -D_LARGEFILE_SOURCE -D_POSIX_C_SOURCE=200112 -D_XOPEN_SOURCE=600 -DPIC -std=c99 -fomit-frame-pointer -fPIC -fno-math-errno -fno-signed-zeros -fno-tree-vectorize
02. 
03.OBJS += $(OBJS-yes)
04. 
05.ALL_S_FILES := $(wildcard $(LOCAL_PATH)/$(ARCH)/.S)
06.ALL_S_FILES := $(addprefix $(ARCH)/,$(notdir $(ALL_S_FILES)))
07. 
08.NEON_S_FILES := $(wildcard $(LOCAL_PATH)/$(ARCH)/
_neon.S)
09.NEON_S_FILES := $(addprefix $(ARCH)/,$(notdir $(NEON_S_FILES)))
10. 
11.NEON_C_FILES := $(wildcard $(LOCAL_PATH)/$(ARCH)/*_neon.c)
12.NEON_C_FILES := $(addprefix $(ARCH)/,$(notdir $(NEON_C_FILES)))
13. 
14.S_FILES := $(filter-out $(NEON_S_FILES),$(ALL_S_FILES))
15. 
16.C_OBJS := $(OBJS)
17.ifneq ($(S_FILES),)
18.S_OBJS := $(S_FILES:.S=.o)
19.S_OBJS := $(filter $(S_OBJS),$(C_OBJS))
20.C_OBJS := $(filter-out $(S_OBJS),$(C_OBJS))
21.else
22.S_OBJS :=
23.endif
24. 
25.ifneq ($(NEON_S_FILES),)
26.NEON_S_OBJS := $(NEON_S_FILES:.S=.o)
27.NEON_S_OBJS := $(filter $(NEON_S_OBJS),$(C_OBJS))
28.C_OBJS := $(filter-out $(NEON_S_OBJS),$(C_OBJS))
29.else
30.NEON_S_OBJS :=
31.endif
32. 
33.ifneq ($(NEON_C_FILES),)
34.NEON_C_OBJS := $(NEON_C_FILES:.c=.o)
35.NEON_C_OBJS := $(filter $(NEON_C_OBJS),$(C_OBJS))
36.C_OBJS := $(filter-out $(NEON_C_OBJS),$(C_OBJS))
37.else
38.NEON_C_OBJS :=
39.endif
40. 
41.C_FILES := $(C_OBJS:.o=.c)
42.S_FILES := $(S_OBJS:.o=.S)
43.NEON_C_FILES := $(NEON_C_OBJS:.o=.c.neon)
44.NEON_S_FILES := $(NEON_S_OBJS:.o=.S.neon)
45. 
46.FFFILES := $(sort $(NEON_S_FILES)) $(sort $(NEON_C_FILES)) $(sort $(S_FILES)) $(sort $(C_FILES))

참고:OBJS 와 OBJS-yes 매크로가 어떻게 생성되는지 보겠습니다.

ffmpeg/libavcodec 폴더의 Makefile을 열어 봅니다.
1.OBJS = allcodecs.o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2.audioconvert.o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3.avpacket.o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4.bitstream.o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5.bitstream_filter.o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6.dsputil.o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위와 같은 소스를 볼 수 있습니다.이는 다시 말하면 allcodecs.c, audioconvert.c … 와 같은 소스들은 컴파일 옵션과 상관없이 무조건 컴파일 하겠다는 뜻입니다.

다음으로 아래와 같은 코드들이 이어집니다.
1.OBJS-$(CONFIG_AANDCT)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+= aandcttab.o
2.OBJS-$(CONFIG_AC3DSP)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+= ac3dsp.o
3.OBJS-$(CONFIG_CRYSTALHD)               += crystalhd.o
ffmpeg 폴더의 config.mak 파일을 열어서 CONFIG_AANDCT, CONFIG_CRYSTALHD 등을 찾아 보시면 이게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 수 있습니다.config.mak 파일을 열어 보면 아래와 같이 되어 있습니다.
1.CONFIG_AANDCT=yes
2.!CONFIG_CRYSTALHD=yes
즉, “OBJS-$(CONFIG_AANDCT)”는 “OBJS-yes”로 변환되어 aandcttab.c 는 컴파일할 것이고,”OBJS-$(CONFIG_CRYSTALHD)”는 그렇지 않으니 crystalhd.c 는 컴파일 하지 않을 것 입니다.

이런 방법은 거의 모든 open source library에서 사용하고 있는 표준적인 방법이니 익숙해지는 것이 좋습니다.

참조

[^1]: Compiling ffmeg on macOS